국내 OTT 플랫폼 강자, 티빙과 쿠팡플레이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넷플릭스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.
다시 한 번 확인한 K콘텐츠의 세계적 관심
올해 1분기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 ‘더 글로리’의 열풍으로 세간이 떠들썩했다. ‘오징어 게임’의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에 다수의 국산 콘텐츠들이 전 세계 안방을 달궜고, 그중에서도 ‘더 글로리’는 대한민국 학폭 사건의 재조명과 가해자들에 대한 사회적 처벌이 확대되는 과정에 윤활유 역할까지 톡톡히 해냈다. 그 외에도 ‘피지컬: 100’, 영화 ‘길복순’ 등이 많은 관심을 받았다. 이 와중에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을 맞아 넷플릭스가 향후 4년간 25억 달러(약 3조 3,000억 원)를 K콘텐츠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면서 K콘텐츠 시장의 더 큰 경쟁력 상승이 기대된다.
"
그런데 K콘텐츠 말고,
K-OTT는 어떤가?
"
넷플릭스, 디즈니플러스 등 외산 OTT의 무게 중심이 아직 높은 가운데 티빙, 쿠팡플레이, 웨이브 등 K-OTT가 각자 칼을 갈고 넷플릭스의 아성에 도전하고 있다. 앱 서비스를 분석하는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티빙의 MAU(월간활성이용자수)는 3월 기준 459만 명으로 K-OTT 2위 자리를 수성하고 있다. 국내 OTT 전체로 보면 단연 압도적 1위는 넷플릭스(3월 MAU 1,247만 명)지만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유료화 정책 시행을 알리며 언제 구독자가 빠져나갈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. 그 뒤를 티빙과 3위인 쿠팡플레이가 MAU 409만 명 수준으로 뒤쫓고 있다. 티빙은 쿠팡플레이 대비 약 50만 명 앞서 있지만, 두 플랫폼의 격차는 줄어드는 추세다. 1월 두 서비스의 격차가 76만이었음을 감안하면 상당히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고 경쟁이 치열한 상황으로 판단된다.